![]() |
나치의 학살을 피해 아내와 조카를 두고 미국으로 건너온 건축가 토스(에이드리언 브로디 분)는 사촌인 아틸라(알레산드로 니볼라 분)와 함께 어느 부잣집의 서재 리모델링 공사를 한다.
어머니를 모시고 집에 돌아온 집주인 밴 뷰런(가이 피어스 분)은 마당에서 흑인 노동자가 일하고 있고, 집안은 난장판이 된 꼴을 보고 깜짝 놀란다.
토스가 아드님이 서프라이즈 선물로 서재 리모델링을 의뢰했다고 설명해도, 당장 나가라며 내쫓는다.
그러더니 아틸라에게 따로 연락해 집 훼손에 대한 책임을 묻지 않는 것만으로도 감사한 줄 알라며, 공사비는 한 푼도 못 주겠다고 윽박지른다.
먼저 미국에 이민 왔다는 이유로 선의로 토스에게 숙식도 제공하고, 일도 같이 했는데, 일이 엎어지자 짜증이 난 아틸라가 토스를 쫒아낸다.
갈 곳이 없는 토스는 같이 밴의 집을 공사했던 흑인 노동자 고든(이삭 드 번콜 분)과 함께 천주교에서 운영하는 한 노숙자 쉼터에서 지내면서 막노동을 한다.
그렇게 몇 년이나 지났을까? 어느 날 밴 뷰런이 토스를 찾아온다.
토스가 짓다가 만 자기 집 서재가 유명 건축잡지에 실렸다며, 대체 뭐하던 사람인지 묻는다.
토스는 바우하우스(나치에 의해 폐교되기 전까지 14년간 운영된 미술, 공예, 사진, 건축전문학교; 편집자 주) 출신 건축가였는데, 그가 좋아하는 건축양식을 나치가 금지해서 더 이상 일할 수가 없어 필라델피아에 왔다고 말한다.
밴은 그때 순순히 쫓겨나지 말고, 자기 자랑 좀 제대로 하지 그랬느냐며 그때 안 준 공사비를 준다.
모처럼 큰돈이 생긴 김에 토스는 다시 마약에 빠진다.
그러던 어느 날 밴이 사람을 보내 토스를 자기 집으로 데려온다. 그는 손님들 앞에서 이 사람의 건축물이 유명 건축잡지에 많이 소개되는 대단한 사람이라고 소개한다.
그러면서 손님 중 한 명이자 미국 부통령의 법률대리를 맡고 있는 로펌에 근무 중인 마이클에게 토스의 아내와 조카를 미국으로 데려올 수 있게 도와달라고 한다.
![]() |
이것도 감사한데 갑자기 밴이 토스와 손님들을 죄다 끌고 언덕에 올라 여기에 얼마 전 타계한 자기 엄마의 이름을 딴 주민 커뮤니티센터를 지으려는데, 토스가 이 일을 맡아주면 좋겠다고 부탁한다.
미국에 건너와 힘들게 살던 토스는 밴의 저택에 기거하면서 큰 프로젝트를 맡게 돼 경제적으로 숨통이 트인다.
밴의 아들 해리(조 알윈 분)가 시장과 협의해 기독교 예배당을 짓는 조건으로 건축비 지원을 받아온다.
그 바람에 여러 건물을 지어야 되게 된 토스는 고민하지만, 곧 해답을 찾아 주민설명회를 개최한다.
그렇게 공사가 시작되지만, 밴이 그동안 일을 맡겼던 레슬리(조너선 하이드 분)가 감리랍시고 건축물의 예술성을 무시한 채, 공사비에만 초점을 둬 토스의 설계를 변경한다.
게다가 운송비 절감을 위해 구입한 기차가 자재 운송 도중 사고가 나 2명이 다치자, 밴은 그 2명 중 1명이라도 죽으면 골치 아파진다며 공사를 중단시킨다.
이미 아내 에르제벳(펄리시티 존스 분)과 조카 조피아(아리안 라베드 분)까지 온 마당에 토스는 갑자기 실직자 신세가 된다.
![]() |
세월이 흘러 사고보상금으로 일을 마무리한 밴이 다른 회사에서 일하고 있는 토스에게 다시 돌아와 건축을 마무리해 달라고 부탁한다.
이 영화의 제목인 ‘브루탈리스트’는 콘크리트 노출 건축양식인 브루탈리즘(brutalism)으로 건축하는 건축가를 뜻한다.
15분의 인터미션을 포함해 총 3시간 34분 51초에 달하는 긴 러닝타임을 자랑한다. 보통 긴 뮤지컬이 20분의 인터미션을 포함해 총 3시간 정도인 걸 감안하면 상당히 긴 편이다.
1시간 40분 34초부터 시작되는 인터미션 시간에는 15분의 카운트다운이 진행되면서, 토스의 결혼식 사진과 함께 경음악이 흘러나온다.
하지만, 아직 영화가 끝난 건 아니기에 상영관의 불이 켜지진 않는다. 특히 휴식시간이 끝나가는 걸 관객들이 인지할 수 있게 종료 2분 전부터는 음악 대신 사람들의 웅성거리는 소리가 흘러나온다.
영화의 러닝타임도, 인터미션 형식도 관객들에겐 새로운 경험이다.
영화 속 밴은 성공한 사업가로, 하층민의 삶을 사는 토스에게 호의를 베푸는 듯하면서 무시와 경멸로 일관한다.
옥스퍼드대에서 영어를 전공하고, 조국인 헝가리에서 신문기자로 일했다는 토스의 아내에게, 토스의 영어 발음이 구두닦이 발음 같으니 당신이 발음교정 좀 해 주라며, 토스에게 동전 한 닢을 던진다.
그리고 사고로 중단됐던 공사를 재개한 후에 레슬리가 데려온 업자와 토스가 자꾸 마찰을 빚자, 그 자리에서 업자를 해고하는 척하면서, 뒤에선 그에게 전화로 감리를 진행시킨다.
또 자재를 구하기 위해 이탈리아 석공을 만나고 난 후, 술에 취한 토스를 밴이 강간한다. 넌 나에겐 아무런 힘이 없는 존재라는 걸 각인시키기 위해서 말이다.
미국이란 나라는 이민자들이 만든 나라다.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이민자 탄압을 본격화하기 위해 시동을 걸고 있다.
트럼프의 모습과 극 중 밴의 모습이 겹쳐 보인다. 그런 까닭에 지난해 베니스영화제에서 은사자상(감독상)을 수상했다.
영화 <브루탈리스트>는 오는 12일 개봉한다.
/디컬쳐 이경헌 기자